![](https://blog.kakaocdn.net/dn/cf4O2M/btrWuOp2oeN/l3VkuwsZKmJO9FQQPgurE1/img.jpg)
로봇관련 이슈 10가지
① 로봇산업, 글로벌 3대 강국으로의 도약 선언
대구 성서산업단지 아진엑스텍에서 윤석열 정부가 로봇산업 글로벌 3대 강국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윤석열 정부는 5년 임기동안 추진할 110대 국정 과제에서 로봇과 인공지능 산업을 반도체, 자율주행자동차와 함께 국내 산업을 주도할 핵심 산업이라며 로봇 산업 육성 의지를 분명히 했다.
② 로봇산업 핵심 기반 구축 사업 활발
올 한해 로봇산업 핵심 기반 구축 사업이 활발하게 이뤄졌다. 실증지원, 인재양성, 테스트베드 구축 등이 구체화됐다.
5G 기반의 첨단 제조로봇을 개발하고 도입하고자 하는 국내 모든 기업들이 제품 및 시스템 개발에서 부터 실증시험, 평가, 인증에 이르기까지 전 단계에 대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중고로봇 재활용을 위한 ‘로봇리퍼브센터 기반구축사업’도 추진된다.
③ 로봇업계 IPO 러시
일로보틱스, 에스비비테크, 뉴로메카 등 로봇기업들이 코스닥 시장에 잇달아 상장했다. 올해 3월 생산자동화 로봇토탈 솔루션 기업인 유일로보틱스가 상장했으며 하모닉 드라이브 등 감속기 개발업체인 에스비비테크는 10월에 코스닥에 상장했다. 11월에는 국내 대표적인 협동 로봇 전문기업인 뉴로메카가 코스닥 시장에 자리를 잡았다.
④ 국산 로봇착유기 보급
충청남도 농업기술원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의 ‘한국형 로봇착유기 보급 시범 사업’을 통해 논산 젖소농가 1곳에 로봇착유기 보급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젖소 유두 인식은 3D 카메라를 이용해 정확도와 시스템 구동 속도를 높였다. 착유컵은 세척과 착유, 소독을 한꺼번에 진행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만들었다. 국산 로봇착유기가 확대 보급되면 디지털 낙농 기반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⑤ 국가로봇테스트 필드사업 예타 통과 실패, 그리고 재도전
산업통상자원부와 대구시가 의욕적으로 추진한 국가로봇테스트 필드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지 못했다. 국가로봇테스트필드는 실환경 기반의 서비스 로봇 테스트 인프라 구축과 로봇 제품의 안전성, 성능평가 기술개발, 실증지원을 통해 로봇 신시장을 창출해 국내 서비스 로봇 산업을 글로벌 3대 강국으로 도약시키고자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사업이다.
산업부는 국가로봇테스트필드 구축 사업이 우리나라 로봇산업의 글로벌 3대 강국 진입을 위해 꼭 필요하다고 보고 재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국가로봇테스트필드사업을 재기획(고도화)하고, 오는 2027년 테스트필드 구축을 목표로 사업을 재추진한다는 계획이다.
⑥ 국산 수술 로봇 해외 진출
수술용 로봇 기업인 미래컴퍼니가 복강경 수술 로봇 레보아이(Revo-i)를 해외 병원에 공급하는데 성공했다. 미래컴퍼니는 올해 우즈베키스탄 의료기관(Shox International Hospital)'에 레보아이를 공급, 중앙아시아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
⑦ 국내 서비스 로봇 기업들의 투자 유치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국내 로봇 스타트업인 ‘베어로보틱스’는 무려 100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자율주행 로봇 솔루션기업 클로봇은 신한벤처투자, 엘앤에스벤처캐피탈, 현대차그룹 제로원, 어니스트벤처스 등으로부터 95억원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중국 푸두 로보틱스의 서빙 로봇을 국내 공급하고 있는 브이디컴퍼니도 하나벤처스로부터 99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⑧ LG전자, 로봇 사업 다각화
올해 LG전자는 대기업 가운데 로봇 사업 부문에서 가장 두드러진 활약을 보였다. 우선 LG 클로이 로봇의 라인업이 크게 증가했다. 방역로봇인 UV-C봇을 비롯해 클로이 가이드봇, 서브봇(선반형/서랍형), 셰프봇, 바리스타봇 등으로 크게 늘었다.
LG전자는 클로이 로봇을 앞세워 호텔, 의료기관, 박물관 등을 공략한데 이어 일본 유통기업인 이온몰에도 진출했고 클로이 가이드봇을 미국 시장에 선보이기도 했다. 올해 3월에는 전원주택, 펜션 등 국내 사용 환경에 최적화된 잔디깎이 로봇을 출시했으며 하이젠 모터와 제휴해 협동 로봇을 선보였다. CJ대한통운과 협력해 물류로봇 개발 계획도 밝혔다.
⑨ 빨라지는 4족 보행 로봇 개발
국산 4족 보행 로봇 개발에 대한 소식도 전해졌다. KAIST 로봇인공지능연구소(Robotics & Artificial Lab·Rai Lab)가 역동적인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4족 보행 로봇 ‘Raibo’를 개발하고 시연 동영상을 공개했다. 또한 KAIST와 美 일리노이대 어바나-샴페인 캠퍼스 공동 연구팀은 강자성 환경에서 수직 벽과 천장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4족 보행 로봇 ‘마블’(MARVEL·Magnetically Adhesive Robot for Versatile and Expediate Locomotion)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⑩ 로봇산업핵심기술사업 일몰 5년 연장
산업통상자원부의 로봇산업기술개발사업의 일몰 기간이 5년 연장될 전망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 277810
한국과학기술원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의 연구원들이 창업한 전문 벤처기업으로 한국 최초의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인 'HUBO' 가 회사의 근간임.
제품군은 크게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 플랫폼, 협동로봇 및 천문 관측용 마운트 시스템으로 분류할 수 있음.
로봇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초정밀 지향 마운트를 개발하였으며, 취미 활동가, 전문가뿐만 아니라 최근 군사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마운트를 개발하여 시장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음.
휴림로봇 090710
휴림로봇은 산업용 로봇 및 지능형 로봇을 생산공급할 목적으로 1999년 11월 29일에 법인전환 형태로 설립됨. 또한, 2006년 12월 5일, 로봇업체로는 최초로 코스닥시장에 상장됨.
지식기반사회로의 발전에 따라 로봇의 패러다임은 노동대체 수단으로서의 '전통적 로봇'에서 인간 친화적인 '지능형로봇'으로 변화되고 있음.
동사는 산업용로봇 뿐만 아니라 지능형로봇을 기반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사업의 분야를 확대하고 있음.
에브리봇 270660
에브리봇는 지능형 로봇의 제조 및 판매를 주된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현재는 자율주행 기술에 기반한 로봇청소기의 개발과 제조·판매 사업을 주로 영위하고 있음.
2021년 출시한 쓰리스핀 모델은 트리플 스피닝을 기반으로 기존 제품에 탑재되어 있던 기술 개발을 고도화한 제품으로 에브리봇의 차세대 대표 제품으로 각광받고 있음.
2020년 Amazon을 통한 본격적인 해외 진출을 시작하여 해외 온라인 시장 진출 확대에 집중하고 있음.
로보스타 090360
로보스타는 1999년 2월 26일에 산업용 로봇 제조업 등을 주목적으로 설립하였으며, 2011년 10월 17일에 코스닥에 상장한 주권상장법인임.
동사는 산업용 로봇과 로봇 기반의 자동화 시스템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산업의 고도화에 대응하는 로봇의 성능 개선을 추진하고 있음.
Robot 사업 부문과 공정장비 및 로봇 기반의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System Engineering 사업 부문으로 구분됨.
인탑스 049070
1981년 6월 설립되어 IT디바이스, 자동차 부품 제조, 프린트 ASS`Y 제조, 가전제품 ASS`Y 제조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자동차 부품 부문은 2016년 7월 신규 인수한 미래 법인과 국내 구미사업장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구미사업장 및 인탑스 천진법인에서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고 있음.
삼성전자에 가전제품 내/외장재 부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주요 제조 품목은 냉장고, 세탁기 등 가전제품의 케이스임.
에스비비테크 389500
1993년 설립 초기 초경볼 국산화 개발을 시작으로 국내 최초 세라믹 볼 베어링 국산화를 시작 및 탈일본 핵심 소부장 제품인 로봇용 감속기를 순수 국내기술로 상품화(로보드라이브)에 적용함.
진공, 고온, 부식 등 특수 환경용 베어링을 자체 기술로 생산하여 높은 품질과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국내외 반도체, LCD 장비 및 공정에 공급하고 있음.
이상으로 로봇 관련 이슈 및 관련 종목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ㅁ 본 게시물은 주식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공유의 공간입니다.
'재테크 관련 >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철수 관련주 _ 안랩, 써니전자, 오픈베이스, 까뮤이앤씨, 디와이피엔에프 (0) | 2023.01.25 |
---|---|
베트남개발1 주가전망 / 급등이유 / 뮤추얼펀드 (0) | 2023.01.18 |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주가전망 / KH 건설, 에스와이, 현대건설기계, 디와이파워, 현대두산인프라코어, 혜인, 진성티이씨, 서암기계공업, 대모 (0) | 2022.12.08 |
다시 뜨는 이낙연 관련주 : 삼부토건, 남선알미늄, 티케이케미칼, 남화토건, 주연테크, 부국철강 주식, 주가전망 (0) | 2022.12.07 |
4대강 복원 관련주 _ 웹스, 이화공연, 자연과환경, 특수건설, 삼호개발, 우원개발 (0) | 2022.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