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관련/국내주식

동원산업 주가전망 / 한국맥도날드 인수??? / 지난해 매출 8조8660억원...창사 이래 최대

by 아미선생 2023. 2. 6.
반응형

 

안녕하세요.

금일 동원산업은 한국맥도날드르 인수 추진한다고 밝혔는데요.

한번 알아보도록 하게습니다.

 

한국맥도날드 매각을 위한 예비입찰에 단독으로 참여했다. 지난주 1차 실사를 진행했고 현재 가격 협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맥도날드 본사가 제시한 매각가는 5000억원 안팎으로 전해졌고, 매각 주관은 미래에셋증권이 맡았다.

맥도날드가 매각을 진행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로, 2016년 매일유업-칼라일 컨소시엄과 협상협상을 벌였지만 무산됐던 바 있다. 이후 지난해 6월 한국맥도날드가 6년만에 다시 매물로 나온 것이다. 본계약이 체결되면 동원산업은 한국 내 맥도날드 사업권을 독점적으로 갖게 되고 본사측에는 로열티 5%를 제공해야 한다.

업계에선 지난해 그룹 지배구조를 개편한 동원이 이번 인수 참여로 외식 부문 역량을 본격 키우겠다는 전략으로 보고 있다. 동원산업은 앞서 지난해 11월 동원엔터프라이즈와 합병을 통해 동원그룹의 지주회사가 됐다.

그간 수산업에서 벗어나 신성장 동력을 얻기 위해 식품·포장·물류 등을 성장축으로 삼고 공격적인 M&A를 펼쳐오기도 했다. 동원산업은 지난 2008년 미국 참치통조림 제조사 ‘스타키스트’를 인수했고, 2012년엔 대한은박지, 2014년엔 테크팩솔루션, 2017년 동부익스프레스 등을 잇달아 인수했다.

한편 한국맥도날드는 최근 3년 연속 적자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패스트푸드 수요는 점점 늘고 있어 흑자 전환의 희망은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국맥도날드는 지난 2019년 440억 원 적자를 시작으로 2020년 484억원, 2021년 278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2021년 매출은 전년 대비 9.7% 늘어난 8679억원으로 국내 진출 이래 최대였지만 영업손실 278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실패했다

 

 

 

맥도날드 현재 주가 및 실적

 

 

 

 

 

동원산업 현재 주가

만약 동원산업이 한국맥도날드를 인수한다고하면 먼저 실적개선이 우선일꺼 같습니다.

인수 후 다시 흑자로 전환이 된다면 주가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동원그룹이 창사 이래 최대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다만 영업이익은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원가 부담으로 인해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491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동원그룹의 사업형 지주사인 동원산업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매출액이 8조 866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14일 밝혔습니다. 이는 전년보다 16.6% 늘어난 수치입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3472억원으로 전년 대비 10.2% 늘었으며, 영업이익은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원가 부담으로 인해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한 491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사업형 지주사인 동원산업은 가장 두드러진 성장세를 나타냈습니다. 주력인 참치 어획 사업과 연어등 기타 수산물 판매 등 수산·유통 분야의 견고한 성장세에 힘입어 별도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조 315억원과 1517억원으로 전년 대비 41.4%, 66.8% 증가했습니다. 

연결 대상 계열사들도 호실적을 이어갔습니다.

식품 사업 부문 계열사인 동원F&B는 사상 처음으로 연매출 4조원을 돌파했습니다. 이는 지난 2019년 연매출 3조원을 돌파한 이후 3년 만입니다. 

회사 측은 “참치, 김 등 주력 사업 부문의 꾸준한 성장과 자회사 동원홈푸드의 외형 확장 덕분에 전년 대비 15.3% 증가한 4조 236억의 매출을 달성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포장 사업 부문 계열사인 동원시스템즈는 알미늄 수출 확대와 무균충전 방식의 아셉틱 음료 사업 호조에 따라 매출 1조 4370억원, 영업이익 91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물류 사업 부문 계열사인 동원로엑스도 포워딩 사업 등 주력 사업이 좋은 성과를 내 매출 1조 2142억원, 영업이익 208억원을 달성했습니다. 

 


이상으로 동원산업이 한국맥도날드인수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ㅁ 본 게시물은 주식종목 추천 및 구매 강요가 아닌 정보공유의 공간입니다.

반응형